최근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 사는 유태인의 인구는 전체 미국인의 1.7%-2.6% 라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억만장자와 노벨상 수상자 등 성공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유태인입니다. 유태인이 오랜 시간동안 핍박받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성공하고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남다른 교육 방법과 교육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태인의 교육 방식은 단순히 공부 잘하는 자녀를 만드는 것이 아닌 사고력과 창조성을 잘 활용할 줄 아는 자녀를 사회에 내놓는다는 점에 있어 돋보입니다.

한국 부모들은 자녀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오늘 학교에서 무엇을 배웠느냐”라고 묻지만 유태인 부모들은 “오늘 학교에서 어떤 질문을 하였느냐”를 묻는다고 합니다. 유태인들에게 진정한 교육이란 학교에서 선생님이 알려주는 지식이나 정보를 수동적으로 머리 속에 집어 넣고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주입식이 아니라 어떤 목적으로 왜 배워야 하며 훗날 그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를 익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유태인의 교육 방식과 철학을 자녀들에게 심어주는 것은 단기간에 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일상생활 속에서 아이들이 끊임없이 논리와 사고력을 이용해 사물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1. 매일 신문을 읽고 주제에 대해 토론하기

뉴욕타임스나 워싱턴 포스트 등을 포함한 대부분 신문의 글 난이도는 중학생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신문이란 대중을 위한 글이기 때문에 전문 용어를 피하고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뉴스를 접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문은 6학년 학생들도 충분히 소화시킬 수 있는 매체입니다. 매일 신문을 읽으며 세상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일들을 배우고 그날의 뉴스에 대해 집에서 대화를 나눈다면 자연스럽게 그 일들의 연관성을 읽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역사 수업 시간에 민주주의 혹은 사회주의의 이상과 그 차이점에 대해서 배우는 것보다 신문을 통해 오늘날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어떤 정책을 지지하며 민주주의 국가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읽고 나면 교과서 속에 존재하는 정치적 이론이 실제 우리 사회의 기본 바탕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2. TV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엔터테인먼트가 아닌 교육 자료로 사용하기

자녀들이 매일 접하는 TV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단순히 엔터테인먼트로만 볼 수 없습니다. 내용과 배경 설정, 그리고 등장인물들을 통해 수많은 메시지가 전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갱단이 나오는 영화에는 항상 흑인이 등장하고 상류층을 그리는 스토리에는 흔히 백인이 등장합니다. 이렇게 중복되는 이미지를 접할 때 아이들은 무의식적으로 편견을 갖게 됩니다.

때문에 부모님이 함께 시청하며 아이들이 수동적으로매체가 전하는 메시지를 받아들이는게 아니라 매체에 담긴 메시지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비판하고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대화를 하다 보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왜?”라는 생각을 하고 질문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3. 매일 자기 전 일기 쓰기

매일 하루 일과를 끝내고 잠자리에 들기 전 하루를 돌이켜 보며 내 생각을 적는 것은 자녀의 생각 뿐 아니라 성숙도에 도움이 됩니다. 이 때 단순히 그날 무엇을 했는지 리스트를 적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건 위주로 그 때 당시 어떤 생각이 들었으며 돌이켜 보니 어떤 심경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솔직히 적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 스스로와 대화를 하며 문제점을 풀고 해결책을 찾아갈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런 방식을 매일 몸에 익히다보면 문제 파악과 해결 능력을 어렵지 않게 키울 수 있습니다.

4. 학교와 집에서 질문하는 습관 들이기

한국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질문을 별로 하지 않습니다. 부끄러워서일 수도 있고 어른에게 질문을 많이 하지 않는 한국의 유교사상 문화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수업 시간에 질문하는 능력을 키우려면 가정에서부터 질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일상 속에서 늘 접하는 사물이나 장소를 무심코 넘겨버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점을 찾아 그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것이 몸에 배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생일날 미역국을 먹는 것이 왜 한국의 풍습인지 그 풍습 속에는 어떤 과학과 조상의 지혜가 담겨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하거나, 왜 추울 때는 음식을 소화시키는 것이 더 힘든지, 발렌타인 데이의 유래는 무엇인지 등등 생활 속에서 늘 궁금증을 갖고 질문하는 습관을 길러주면 좋겠습니다.


글 / 진유미 (교육 전문가)
USC에서 저널리즘 석사를 취득 후, 미국 주류 신문사와 잡지사 기자로 활동하고 UCLA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UCLA에서 카운슬러와 강사로 일한 바 있으며, 교육 스타트업을 설립하였다. 현재는 대학 입시 카운슬링 및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Booravo Education Services의 대표